[식품미(味,美)학] 쥐눈이약콩 메주, 된장, 간장, 청국장쥐눈이콩은 콩류중 유일한 짠맛으로 9회죽염에 필적할 만큼水氣를 만드는 좋은 재료입니다. “쥐눈이콩”의 대단한 역할의식재료를 두고 왜 대부분 “대두”로만 장류를 만들까요?황제내경에 의하면 신장방광에서 수기를 만드는 재료는짠맛식품이며 그 대표적인 식품이 쥐눈이약콩이죠.대두로 식습관을 들여온 세월동안 대두로 만든 장류의 컬러와맛에 익숙해졌지만 이제라도 쥐눈이콩으로 식재료를 바꾸어좀더 검은 컬러와 맛에 익숙해지면 건강을 위해 훨씬 더 도움이됩니다.대두와 컬러와 맛과 식감이 좀 다르지만 다른대로 맛도, 식감도 좋습니다.된장 간장을 직접 담은 분들을 위해 쥐눈이콩 메주가 준비되어있고 장류를 사드시는 분들을 위해서는 이미 3회죽염으로 만든쥐눈이콩 된장, 간장 등의 청학동 청학고을 제품군이 있습니다.이미 고객들에 의해 품질과 가격이 검증된 3회죽염 된장, 간장,고추장...
[음식의학] 쥐눈이콩(서목태)의 가치와 쥐눈이콩으로 만들 수 있는 식품 검은콩이 좋다고요? 아닙니다. 정확히 말하면 검은콩 중에서도 쥐눈처럼 생긴(쥐눈이콩) 서목태가 신장방광에 좋은 짠맛식품입니다. 그래서 약콩인거죠. 6장6부중 신장은 다른 장부들과 연결되어 있어 신장이 건강해야 다른 장부도 건강합니다. 쥐눈이콩은 9회죽염과 더불에 신장방광에 좋은 최고의 짠맛 식품입니다. 국민식품인 두부, 청국장, 된장, 간장, 콩비지, 콩국수, 메주, 콩나물 등을 쥐눈이콩으로 만든다면 최상의 식품이 됩니다. 여기에 소금을 9회죽염으로 사용하면 완전 프리미엄 럭셔리 식품이겠지요. 그런데 시중에 유통되는 식품중 쥐눈이콩으로 만든 식품은 찾기가 힘듭니다. 추측에 의한 이유는, 첫째, 쥐눈이콩이 신장에 좋은 짠맛이라는 것을 잘 모르니그냥 다른 검은콩과 같은 취급을 한다는 것이고 둘째는 백태보다 훨씬 높은 가격대때문에 대량으로 만들어...
[음식의학] 몸의 욕구를 잠재우는 6곡식의 힘
氣가 부족하면 허기(虛氣)집니다. 기가 부족하여 허기지는 것이 진정한 의미의 배고픔입니다. 몸에서 기를 만드는 장부는 6장6부이고 이들이 각각 한 개씩의 氣를 만드니 이를 6氣라고 합니다. 6기가 부족하면 6장6부의 원성과 욕구로 인한 통증으로 몸이 시끄럽습니다. 시끄러운 몸의 욕구를 채워서 평화롭게 만드는 방법은 6氣를 만드는 6味의 6곡식(6穀食=씨앗)이 가장 강력합니다. 간장담낭에서 만드는 木氣 신맛재료 “적두(팥)” 심장소장에서 만드는 火氣 쓴맛재료 찰수수” 비장위장에서 만드는 土氣 단맛재료 “찰기장” 폐장대장에서 만드는 金氣 매운맛재료 “현미” 신장방광에서 만드는 水氣 짠맛재료 “쥐눈이콩” 심포삼초에서 만드는 相火氣 떫은맛재료 “녹두” 6곡생식, 6곡밥, 6곡스프, 6곡죽 등은 몸의 기운을 단단히 다져줍니다. #닥터비건 음식의학 “6 Grains wi...
[식품미(味,美)학] 진짜 약콩을 고르는 방법과 약콩인 이유
검정콩의 가치를 인식하고 많은 가공식품들을 만들고 있습니다만…
검정콩중 어떤 검정콩이 좋은지 왜 좋은지는 분명하지 않은 듯 합니다.
검정콩은 서리태와 서목태가 있습니다.
서리태는 콩알이 크고 서목태는 콩알이 작으며
이름그대로 쥐의 눈처럼 생겼다고해서 쥐눈이콩이라고도 합니다.
서목태의 검정 콩껍질을 벗기면 노란색과 녹색 두가지가 있는데
노란색은 서안태라고 하고 녹색콩이 진짜 서목태입니다.
이 녹색의 서목태를 약콩이라고 하는데 그 이유는
서목태가 신장방광을 건강하게 해주는 유일한 짠맛 곡식이기 때문이며
그래서 진짜 약콩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된장 간장 청국장, 두유, 콩조림, 콩나물, 콩국물도
서목태로 만들면 그 의미가 더해질 것입니다.
서목태는&nb...
p.s. 가정에서 만들어 드실 분들에게는 레시피 제공합니다.
[음식의학] "9회죽염 쥐눈이(서목태)콩국수"의 음식의학적 가치
쥐눈이콩은 황제내경에 근거 신장방광에 좋은 짠맛 곡식입니다.
대부분 곡식에는 껍질에 영양분이 가장 많습니다.
영양가득한 콩껍질을 버리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여
콩국물을 만들되 물의 양을 최소화하여 진한 국물을 만들고
9회죽염으로 간을 한다면 신장방광을 위한 최상의 콩국물이 됩니다.
고전의학 황제내경에 의하면 신장방광과 간장담낭은 서로 상생관계에
있습니다. 신장방광(水氣)에 좋은 음식을 먹으면 수생목을 하기 때문에
간장담낭(木氣)에도 좋습니다. 국수는 대한민국 단 한군데서만 만드는
진짜 토종 앉은뱅이밀국수로 한다면 더 완벽한 영양의 조합이 될 것입니다.
하지만 식당에서 이런 재료로 콩국수를 제공하려면 왠만한 철학...
[음식의학] 동물성 단백질의 1차 공급원에 대한 상식
무의식 중에 사회적으로 학습된 상식 중의 하나가
단백질은 동물성에서 공급받아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그런데 동물의 몸에 축적된 단백질의 최초 공급은 어디에서 비롯되었을까요?
단백질 이동경로는 지구에 있는 오행의 원료가 뿌리를 통해 식물에 축적되고,
이 식물을 먹고 몸에 단백질이 쌓인 초식동물을 육식동물이 먹고 생기는 것이
소위 동물성 단백질입니다.
그러므로 육식동물의 1차 단백질 공급원은 결국 식물입니다.
그런데 동물은 식물과 달리 사람처럼 균도 많고(한끼 육식식사 5억마리
바이러스 vs 한끼 채식식사 500마리 바이러스) 사람처럼 아프고 감정이 있으므로
동물성 식사를 하게 되면 균, 감정, 질병 등을 함께 섭취하게 됩니다.
더구나 동물성 ...